반응형 개발 공부10 Git/GitHub_2 GitHub 활용 초기 원격저장소 설정하기 New Repository 로컬 저장소에 원격 저장소 정보 설정하기 로컬 저장소에는 한번만 설정하면 된다. $ git remote add origin url 로컬 저장소의 버전을 원격 저장소로 Push $ git push 원격 저장소는 저장소의 버전(커밋)을 관리 로컬 저장소의 버전을 원격 저장소로 Pull $ git pull 원격 저장소로부터 변경된 내역을 받아와서 이력을 병합 에러사항 $ git commit 만 눌렀을때, commit 메시지 적고 esc누른다음 :wq! 적고 엔터누르기 E45: 'readonly' option is set (add ! to override) :wq 뒤에 !가 없어서 에러났었음 명령어 git init 로컬에서 새로운 프로젝트 시.. 2023. 1. 15. Git/GitHub_1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(DVCS) 로컬에서만 버전을 기록하고 관리 원격저장소(remote repository)를 활용하여 협업 버전 관리 작업을 add, commmit 파일이 달라지지 않으면 새로 저장하지 않음 기본 명령어 $ git init 특정 폴더를 git 저장소(repository)를 만들어 git으로 관리 .git 폴더가 생성되며 git bash에서는 (master/main)라는 표기 확인 가능 $ git add 파일명 working directory 상의 변경 내용을 staging area에 추가하기 위해 사용 untracked, modified 상태의 파일을 staged로 변경 $ git commit -m '커밋 메세지' staged 상태의 파일들을 커밋을 통해 버전으로 기록 $ git lo.. 2023. 1. 15.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